본문 바로가기

TCK/ 제 3 문화 아이들/한글

TCK/ 제3문화 아이들] #3 제3문화 아이, 그리고 귀향 가능성 / 허공에서 살아가기






 이번 글은, 책에 의존하기 보단 내 자신이 느낀 점을 기초로 작성해 볼까 한다.



 나는 유치원이란 아주 어린 나이에 한국을 떠났다.

 어쩌다가 한 번씩 하던 서울나들이 같은 외출이 전부였던 나는 동네를 떠나, 나라를 떠나게 됐다.


 굉장한 세상이 열린 것이 아니냐? 부정할 수 없다. 옳다. 실로 엄청난 세상이 내 앞에 펼쳐졌다.


 그와 더불어, 이전과 다른 한가지.
 바로, 내 앞에 놓인 세계에 온전히 뛰어들 수 없다는 것이다.


 왜냐하면-

 나는, 떠날테니까.



 어른들은 체감하고 있지 못하겠지만, '고국으로 돌아갈 날만 꼽는' 부모들처럼, 아이 또한 언제나 귀향 가능성에 대해
염두해두고 있다.
 부모에겐 그저 집으로 돌아갈 날 정도의 감격스러운 어느 날-정도로 인식 될 수도 있는 이 사실은 아이에게 은근히 많은 영향을 끼친다.


 대충 정리해 보자면,




 1. 내겐 돌아가야하는 곳이 있다.

 2. 돌아가야하는 곳이 있기에, 나는 친구들과(현지인) 다르다.

 3. 나는 다르다. 이들의 문화는 내 것이 아니다.

 4. 지금 이들과 문화를 나누지만, 언젠가 나는 이를 버려야한다.


 5. 매해 이곳에서 축제가 벌어진다. 과연 , 난 내년에도 참가 할 수 있을까?

 ..... 

 >> 언제 떠날지 모른다. 그러니, 나는 언제나 이별에 대비해야 한다.





 무엇이 보이는가?


 이건 이민자녀들에게는 나타나지 않는 특성일 것 같긴하지만, 
무의식적으로 아이들은 언제나 '이동 대기 상태 '라는 뜻이다.




 이동이별의 다른 말이다.

 
 이미 한 곳을 떠나 온 아이는 , 그렇게 생각할 것이다.
이동으로 인해 이미 아이는 친구, 애완동물, 친척, 동네, 놀이, 냄새 등 일상과의 이별을 겪었다.


 지금은 그 이별로 인해 이곳(거주지)에 와 있지만,
언제든 다시 돌아가x ->떠나야 한다.

 한번 이동/이별을 해봤으니, 무엇과 이별을 해야하는지도 아이는 알고 있다. 
 그렇기 때문에 언젠가 예비되어 있는 이동/이별, 혹은 부모가 말하는 '귀향'을 대비해
돌아가는 때까지 '이별 대기 상태'를 유지한다는 것이다.


 
 이별이라는 것이 고통스럽다는 것은 누구나 아는 사실일 것이다.


 아이는 그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자신을 다양한 방법으로 보호한다.

 그 대표적인 방법이 [깊이 들어가지 않기]다.




 거주지의 문화에 깊이 들어가다 보면, 이별 할 때의 고통은 더욱 극심할 것이다.
그렇기 때문에 아이는 차라리, 처음부터 진심으로 그 문화 안으로 파고들지 않는 것이다.



 흔히들 보면, 한국애들은 한국애들끼리 놀며 자신들의 놀이를 하고
'외국인'들의 놀이에 끼어들지 않는 모습을 볼 수 있을 것이다.
 
 내가 있던 학교 같은 경우, 특히나 내 학년에 이 증상이 유독 심했다.

 한국애들끼리는 한국어를 사용해야하며(영국인 학교 였음에도), 한국 놀이를 하고, 한국 음식을 먹으며
한국인 답게 행동해야했다.






 
 한 번은, 현지출신 애들 사이에서 술레잡기 비슷한 새로운 놀이가 유행했는데 한국애들은 팔짱을 끼고
그 놀이의 '미개함'에 대해 논했다. (초딩들이-_-....)

 그 때, 좀 나서는 성격의 한국 여자애가 호기심을 참지 못하고 그들의 놀이에 끼었는데, 한 동안 그 아이에 대한
흉이 말도 아니였다. (초딩들이-_-....)



 이건, 좀 적극적으로 '코리안 버블'을 넘어 '쉴드'를 친 경우고,
대개는 현지인 친구를 사귀는 것을 꺼려한다든지, 관계에 깊이 들어가지 않고, 파티를 피하거나
축제에 소심하게 참가하려는 것 등, 전반적으로 추억을 최소화 할 정도로 알게모르게 이것저것 피해다니는 경우가
대표적이지 않을까 싶다.

 과격한 경우에는 그 문화 자체를 받아들이지 않고, 싫어하기도 한다.



 나 또한, 깊이 들어가지 않는 쪽이지 않았나 싶다.


 그럼, 이러한 '귀향 가능성' 때문에 언제나 '이별 대기 상태'인 안쓰러운? 자녀를 둔 부모는 어떻게 해야 할까?




 내가 주고 싶은 답은,



마음껏, 사랑하게 하라. 즐기게 하라. 그리고 담아 놓을 수 있게 하라.

 이것이다.




 난 굉장히 오래동안 내가 살았던 땅을 얼마나 사랑했는지 모르고 있었다.

 그 때 당시, 내 자신을 허용한 학교, 집 주변 과 공원 같은 공간에는 애착을 가지고 있었으면서,
'야생의 그 나라'에 대해선 완전 분리를 시켰기 때문에 더욱이 체감하지 못하지 않았나 싶다.


 위에는 다른 여자아이를 예로 들었지만,
글을 쓰고 있는 지금. 내가 그 나라의 언어를 5년동안이나 익히지 않았던 이유 중 하나가
이곳에 있지 않나 싶어진다. 멀쩡히 옆나라인 독일어는 정말 열심히 잘 배우고, 불어도 반에서 꼽았으면서
유난히 그 나라말 만이 '소리가 싫어서', '쓸일이 없어서' 스러운 고집으로
익히지 않았던 이유가 나의 귀향 가능성에 연장선인 '이별'에 있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문득 든다.


 하지만, 지금 와서 나는 그 나라를 진심으로 사랑한다. 언제나 그립고, 애달픈 곳이다.


 더욱 나를 안타깝게 하는 것은, 너무 그 나라에 대해 몰랐다는 점이다.
 
 흔히들 있는 힘껏 사랑한 사람이 이별도 쉽게 받아들인다고 하지 않는가? 아쉬운 것이 없으니,
더 이상-이 없으니. 속 시원하게 놓아줄 수 있는 것이다.

 
 하지만 나는, 사람에 비유한다면, 함께 나누지 못한 추억이 너무 많고, 너무 알지 못했고
결정적으로 힘껏 사랑하지 못한 입장이기 때문에, 아직도 그곳을 못 잊는다.


 요즘은 그나마 인터넷이 발달돼서 귀향 후에도 현지 친구들과 연락을 주고 받을 수 있으니 얼마나 좋은가?


 거주지 문화에 쭈뻣거리며 다가서지 않는 아이를 둔 부모라면,
'지금 네가 살고 있는 땅은 바로, 이곳이다.'라고 심어주어라. 다시 한국에 들어가도,
언젠가 다시 이곳에 올 수 있고, 언제나 이곳은 네 마음속에 네 속에 살아 있을 것이다.
그러니 마음껏 즐기고 사랑하라. 고 가르쳐 줘라.




 어차피 돌아갈 건데, 그냥 코리안 버블에 놔두지. 라는 무책임한 생각은 하지 말아주길 바란다.

 어차피 그 코리안 버블은 버블일 뿐이다. 제 3 문화이고, 본국(한국)과 다른 문화다.
코리안 버블 속에 머물며 '토종 한국인'인 것 처럼 굳게 믿다가 돌아오면 되려 다친다.


 떠나기 전까진, 그 땅을 잘 알아둘 수 있도록 부모가 도와줘야한다.


 이전 포스팅에 언급했듯이,


TCK에게는 '영구 귀국'이란 없으니까. 부모야 완벽한 귀향을 하는 것이지만, 아이는 그렇지 않다.
한국에 있다가 그곳에 돌아가는 것 또한, '귀향'이 될 수 있다는 말이다.





 그러니 TCK자녀를 양육하는 부모들은 귀향 가능성에 매어있는 아이의 끈을 조금 더 길게 풀어주길 바란다.
자신이 살고 있는 땅의 심장까지 닿아 볼 수 있도록.